부동산 판례

[판례] - 주택의 일부분을 취득한 경우… 취득세는 “개별지분을 기준”으로

이은노(솔로몬) 2013. 4. 22. 22:57

자료정리 / 이 은 노 ▪ 010-5274-4924  http://blog.daum.net/len4911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인 주택의 일부분을 취득한 경우 주택 전체의 가격이 아니라 지분의 가격을 기준

       으로 취득세를 부과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내부적으로는 공동소유자들끼리 토지나 주택의 구획을 나눠 따로 소유하고

       있지만 외부적으로는 지분권으로 권리를 행사하는 소유형태를 말한다. 이모씨는 2011년 9억원이 넘는

       서울시 종로구 옥인동의 한옥주택 지분 일부를 1억3000여만원에 취득했다.

 

       이씨는 주택의 지분을 취득했지만, ㄷ자 형태인 한옥주택은 방마다 난방시설과 출입문이 따로 설치돼

       있어 여러 세대가 방마다 독립해 거주하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였다.

 

       이씨는 구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0조의2 규정에 따라 주택이 9억원이 넘어 취득세 감면율 50%를 적

       해 취득세 270만원을 냈지만, 후에 자신이 취득한 지분은 1억3000여만원에 불과해 9억원을 넘지 않으

       므로 취득세 감면율 75%를 적용해야 한다며 종로구에 취득세 감액 경정을 청구했다.

 

       이씨는 자신의 청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지난해 5월 소송을 냈다. 1심을 맡은 서울행정법원은... 지난

       해 10월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0조의2는 주택을 기준으로 할 뿐이지 주택 일부를 기준으로 하고 있지

       않으므로 조세감면 혜택은 엄격하게 해석해야 한다"며 원고패소 판결했다.

 

       하지만 서울고법 행정8부(재판장 이기택 부장판사)는... 지난 4월 12일 이씨가 서울시 종로구를 상대로

       낸 취세 부과처분 취소소송 항소심(2012누34244)에서 원고패소 판결한 1심을 취소하고 원고승소 판

       결했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구분소유적 공동소유관계에 있는 주택 일부분이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0조의2

       에 해당하는지 명확히 규정하고 있는 조항을 찾아볼 수 없다"며, "구분소유적 공유관계에 있는 주택은

       독립해 거래할 수 있을 정도이기 때문에... 지분을 취득한 당시의 가격을 기준으로 취득세 감면 규정을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