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판례

[대판] -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의 생전 증여를 받은 경우... 상속분의 선급금으로 판단하는 기준

이은노(솔로몬) 2011. 12. 17. 13:03

자료정리 / 공인중개사 이 은 노 * 010-5274-4924 * http://blog.daum.net/len4911

 

        사      건 ; 2010다66644 유류분반환

        원심판결 ; 서울고등법원 2010. 7. 21. 선고 2010나12489 판결

        판결선고 ; 2011. 12. 8.

 

        피고가... 피상속인과 사이에 딸들과 아들을 두고 피상속인의 사망시까지 43년 4개월 남짓의 혼인생활을

        유지해 오면서 피상속인의 사망 7년 전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이 사건 각 부동산을 증여받은 사안에서, 피

        상속인이 사건 부동산을 피고에게 생전 증여한 데에는 피고가 피상속인의 처로서 평생을 함께 하

        면서 재산의 형성·유지과정에서 기울인 노력과 기여에 대한 보상 내지 평가, 청산, 부양의무의 이행 등의

        취지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여지가 충분하고, 이를 반드시 공동상속인 중 1인에 지나지 않는 피고에 대한

        상속분의 선급이라고 볼 것만은 아니므로... 피고와 피상속인 사이의 혼인생활의 내용, 피상속인의 재산

        형성 · 유지에 피고가 기여한 정도, 피고의 생활유지에 필요한 물적 기반 등의 제반 요소를 심리한 후.. 이

        러한 요소가 사건 생전 증여에 포함된 정도나 비율을 평가함으로써, 증여재산의 전부 또는 일부가 특

        별수익에서 제외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고 본 사례

 

        민법 제1008조는.. “공동상속인 중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의 증여 또는 유증을 받은 자가 있는 경우에

        그 수증재산이 자기의 상속분에 달하지 못한 때에는 그 부족한 부분의 한도에서 상속분이 있다.”라고 규

        정하고 있는데...  이는 공동상속인 중에 피상속인으로부터 재산의 증여 또는 유증을 받은 특별수익자가

        있는 경우에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공평을 기하기 위하여 그 수증재산을 상속분의 선급으로 다루어 구체

        적인 상속분을 산정할 때 이를 참작하도록 하려는 데 그 취지가 있다.

        여기서 어떠한 생전 증여가 특별수익에 해당하는지는... 피상속인의 생전의 자산, 수입, 생활수준, 가정

        황 등을 참작하고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형평을 고려하여 당해 생전 증여가 장차 상속인으로 될 자에게 돌

        아갈 상속재산 그의 몫의 일부를 미리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지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하는데, 생전

        증여를 받은 상속인이 배우자로서 일생 동안 피상속인의 반려가 되어 그와 함께 가정공동체를 형성하고

        이를 토대로 서로 헌신하며 가족의 경제적 기반인 재산을 획득·유지하고 자녀들에 대한 양육과 지원을

        속해 온 경우... 그 생전 증여에는 위와 같은 배우자의 기여나 노력에 대한 보상 내지 평가, 실질적 공동재

        산의 청산, 배우자의 여생에 대한 부양의무의 이행 등의 의미도 함께 담겨 있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그러

        한도 내에서는 위 생전 증여를 특별수익에서 제외하더라도 자녀인 공동상속인들과의 관계에서 공평을

        해친다고 말할 수 없다. 

 

        2010다66644 [판결전문].pdf

 

2010다66644 [판결전문].pdf
0.14MB